브랜드 컬러를 유지하면서 색맹 대응하는 법
브랜드 컬러는 기업이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첫 번째 인상이며, 브랜드의 정체성과 감성적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핵심 수단이다. 하지만 색맹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컬러가 왜곡되거나 완전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전체 인구의 약 8%가 색각 이상을 겪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색상만을 정보 전달의 수단으로 삼는 것은 특정 사용자 집단의 경험을 제한하는 UX 실수가 될 수 있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브랜드의 고유 색상을 단순히 바꾸거나 제거하는 것은 기업 입장에서 일관성과 브랜딩 전략을 해치는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디자이너와 브랜드 팀은 하나의 중요한 질문에 직면한다. "색맹 사용자에게도 정보 전달이 가능한 컬러 시스템을 만들면서, 기존 브랜드 컬러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가?" 이 글에서는 색맹 사용자 친화적인 UX를 구축하면서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는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방법을 소개한다.
색상 고정보다 ‘정보 분리 전략’이 우선이다
많은 디자이너는 색상 변경 없이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명도(밝기)와 채도(색의 강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대응한다. 하지만 이는 브랜드 컬러가 가진 기본적 특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시각적으로 명확한 차별을 만들 수 있는 실용적인 전략이다. 예를 들어, 붉은 계열과 초록 계열은 대표적인 색맹 혼동 영역인데, 이 경우 명도와 채도의 차이를 극대화하면 같은 계열 내에서도 충분한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색을 직접 변경하지 않더라도 색상에 부가적인 시각 정보(예: 패턴, 아이콘, 윤곽선 등)를 병행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 이를 '정보 분리 전략'이라 부르며, 특히 데이터 시각화, 상태 메시지, 버튼 상태 등에서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경고 메시지를 단순히 붉은색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경고 아이콘이나 굵은 외곽선, 애니메이션 등을 함께 적용하면 색맹 사용자도 문제 상황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이처럼 색상은 정보 전달 수단 중 하나일 뿐이며, 핵심 정보는 다양한 시각 요소를 통해 병렬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접근성과 브랜드 정체성을 동시에 지키는 핵심 전략이 된다.
색상 보조 요소를 활용한 컬러 체계 강화
브랜드 컬러를 유지하면서 색맹 대응을 강화하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는 보조 색상(Palette Support Color)을 도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브랜드의 주요 색상이 특정 색맹 유형에서 구분되지 않는 경우, 그 컬러를 보완하는 색상을 함께 지정하여 상태나 기능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색상은 반드시 기존 브랜드 컬러의 감성을 해치지 않도록, 같은 톤이나 유사한 무드로 디자인 시스템 내에 통합되어야 한다.
실제 적용 사례로는 Apple의 시스템 알림 색상 전략이 있다. Apple은 빨간색 계열의 경고 컬러에 대해 검은색 굵은 테두리와 진동 효과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시각에 의존하지 않는 정보 전달이 가능하게 했다. 또 다른 예로는 Microsoft의 Fluent UI에서 강조 색상으로 사용되는 파란색 계열이 Tritanopia(청색 계통 혼동형 색맹)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어, 이를 대비한 아이콘 보강 및 텍스트 중복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즉, 컬러 단독 사용에서 벗어나, '컬러 + 구조 + 텍스트'를 병행하는 디자인 체계를 구축하면 브랜드 컬러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색맹 사용자에게 확실한 정보 전달이 가능해진다.
브랜드 색상 유지와 접근성을 위한 실무 체크리스트
색맹 대응을 위해 브랜드 색상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 대신 색상의 ‘사용 방식’을 조정하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한 실무 체크리스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주요 브랜드 색상의 명도 및 채도 값을 수치로 관리하고, 대비 가능한 보조 색상을 시스템에 포함한다.
- 색상 대비가 필요한 UI 요소(버튼, 경고, 라벨 등)에 대해서는 색상만이 아닌 보조 인식 수단(텍스트, 아이콘, 음영 등)을 반드시 병행한다.
- 디자인 시점에 Figma, Adobe XD 등에서 제공하는 색맹 시뮬레이터(Stark, Color Blind plugin 등)를 통해 실시간으로 결과를 확인하고 기록한다.
- 브랜드 가이드라인 문서 내에 **접근성 요소(contrast ratio, 색상 대체 수단 등)**를 포함시켜 내부 팀 전체가 동일한 기준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 실제 색맹 사용자 또는 접근성 전문가의 피드백을 최소 1회 이상 반영한 후 색상 시스템을 확정한다.
이 체크리스트는 접근성 기준(WCAG)을 지키는 것뿐만 아니라, 브랜드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 다양성에 대응할 수 있는 가장 실용적인 접근법으로 평가된다.
진짜 브랜드는 누구에게나 보이는 것이다
색맹 사용자에게도 브랜드가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어야 그것이 진정한 브랜드 정체성이다. 많은 기업이 브랜드 컬러를 정체성의 절대적 요소로 여기지만, 오늘날 디자인의 본질은 시각적 일관성뿐만 아니라 모든 사용자가 정보에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에 있다. 브랜드 컬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색맹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은 존재하며, 그것은 색상의 변화가 아니라 색상의 문맥, 구조, 보조 수단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완성된다.
지금은 ‘색’을 단지 예쁜 시각 요소가 아니라,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공정한 경험을 제공하는 도구로 다시 정의할 때다. 브랜드 컬러를 고수하면서도 누구에게나 보이는 UX를 제공하는 기업은, 결국 신뢰받는 브랜드로 자리 잡는다. 디자인의 품질은 보는 사람의 수만큼 다양해야 한다. 그리고 그 품질은 모두에게 보이는 순간 완성된다.